주식투자 이야기/주식분석

지놈앤컴퍼니 주가 : 과거의 영광과 현재, 그리고 미래 가능성까지!

세빈(世彬) 2025. 4. 14. 12:54
반응형

 

📌 핵심 요약

  • 이전상장 후 고점 대비 90% 이상 하락한 바이오기업
  • 면역항암제 및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 개발
  • 100% 무상증자 실시 이력
  • 기술이전(L/O)과 화장품 등 비의약품 사업 확장
  • 매출은 증가세지만 적자 지속 중

🏢 1. 기업 개요: 지놈앤컴퍼니는 어떤 회사인가?

지놈앤컴퍼니(Genome & Company)는 201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바이오벤처 기업으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신약 개발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미생물 군집을 의미하며, 지놈앤컴퍼니는 이를 활용하여 면역항암제, 뇌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입니다.

회사는 2019년 코넥스 시장에 상장한 후, 2020년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하였습니다. 상장 초기에는 높은 기대를 받으며 주가가 상승했으나, 이후 실적 부진과 임상 지연 등의 이유로 주가가 하락하였습니다.

지놈앤컴퍼니는 면역항암제와 뇌질환 관련 파이프라인을 중심으로 신약을 개발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같은 비의약품 사업도 함께 운영하여 매출 다각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 2. 상장 히스토리: 기대와 현실의 차이

지놈앤컴퍼니는 2020년 코스닥으로 이전상장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습니다.
상장 직후 주가는 고점을 돌파하며 급등, 당시 바이오붐에 힘입어 4만 원을 넘는 주가를 기록했었죠.

하지만 이후 실적 부진, 임상 지연 등 여러 요인으로 주가는 서서히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2024년 100% 무상증자 실시로 한때 거래량이 급증했으나, 이후 주가는 더욱 하락해 현재는 고점 대비 90% 이상 하락한 상태입니다.

📉 2025년 기준 주가: 2,000원 중반대 (4만 원대 고점 대비 90% 이상 하락)

지놈앤컴퍼니 월봉차트

 


🔬 3. 주요 파이프라인: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의 가능성

지놈앤컴퍼니의 핵심 경쟁력은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입니다.
특히 면역항암제 관련 파이프라인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파이프라인이 진행 중입니다.

주요 파이프라인 요약:

파이프라인적응증단계
GEN-001 면역항암제 병용치료 임상 2상 (美 진행 중)
GEN-501 뇌질환(ADHD 등) 임상 전 단계
GEN-601 피부질환 전임상
유산균 유래 후보물질 장 건강, 면역 강화 건강기능식품화 완료

💼 4. 기술이전 및 협력 성과

지놈앤컴퍼니는 국내외 제약사와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며 상용화 가능성을 점차 넓혀가고 있습니다.

  • 머크(Merck)와의 공동연구 진행
  • 유한양행과의 공동 개발
  • 미국 바이오기업과 기술협력 확대

이는 향후 라이선스 아웃(기술이전 수익)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 5. 비의약품 사업: 미용 · 건강식품 매출 성장 중

의약개발만으로는 어려운 시장에서 지놈앤컴퍼니는 비의약품 사업을 통한 매출 다각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지놈앤바이오’ 브랜드로 화장품 출시
  • 프리미엄 유산균, 건강기능식품 판매
  • 자회사 및 관계사를 통한 ODM 유통채널 확보

📊 최근 몇 년간 비의약품 사업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6. 재무와 실적: 흑자전환은 아직?

지놈앤컴퍼니 실적추이

연구개발비 비중이 높아 적자 구조지만,
파이프라인 기술이전 시 흑자전환 가능성도 있음.


🔍 7. 향후 투자 포인트는?

기술이전 가능성: GEN-001 임상 2상 결과 발표 시, 주가에 큰 모멘텀 발생 가능
비의약품 실적 성장: 안정적 현금흐름 기반 마련
신약개발의 리스크: 장기 투자 시 변동성 유의


✍️ 마무리: 고위험 고수익의 전형적인 바이오주

지놈앤컴퍼니는 높은 기술력과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기업이지만, 실적 부진과 자금 소모, 그리고 시장 전반의 바이오 위축 속에서 오랜 기간 침체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전이나 임상 성공, 또는 사업 다각화 성공 시에는 큰 반등 여력이 있는 주식임은 분명합니다.
신중한 접근과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한 종목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