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이야기/주식분석

삼성중공업 주가, LNG의 황금기- 삼성중공업이 주도한다!

세빈(世彬) 2025. 4. 26. 08:42
반응형

 

조선업의 강자, 그리고 글로벌 해양플랜트의 게임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는 삼성중공업(010140).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급증한 LNG 수요, 그리고 전 세계적인 에너지 안보 강화 흐름 속에서 삼성중공업은 단순 선박 건조를 넘어 고부가가치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 FLNG 업체의 제재 이슈로 인해 사실상 글로벌 독점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까지 받고 있죠. 지금 삼성중공업을 살펴봐야 하는 이유,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중공업 월봉차트


🏢 기업 개요: 조선해양부터 토건까지, 글로벌 사업 전개

삼성중공업은 조선해양 부문과 토건 부문을 주축으로 한 종합 중공업 기업입니다.

  • 조선해양 부문에서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원유운반선 등의 고부가가치 선박과 더불어
    LNG-FPSO(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FPU(부유식 생산설비)
    첨단 해양플랫폼을 건조·판매하고 있으며, 이 부문 매출은 대부분 해외 선주를 통해 발생합니다.
  • 토건 부문
    건축·토목공사 및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장 등 하이테크 공사를 수행하며,
    주로 국내 발주처로부터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에 총 **10개 종속회사(국내 2개, 해외 8개)**를 두고 있으며, 해외 거점은 중국, 나이지리아, 인도 등에 위치해 글로벌 시장 대응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 1Q25 실적: 계절적 조업 감소에도 견조한 흐름

  • 매출: 2조 5,525억 원 (YoY +8.7%, QoQ -5.5%)
  • 영업이익: 1,437억 원 (YoY +84.5%, QoQ -17.6%)

1분기 실적은 조업일수 감소로 인해 전분기 대비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시장 기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이익 성장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고선가 선박 비중 증가, ▲FLNG 건조 정상 진행에 따른 원가율 개선 등이 복합 작용한 결과입니다.

삼성중공업 실적추이 및 컨센서스


🚢 수주현황: 상선 + 해양 수주 고른 성장

2025년 현재까지 삼성중공업은

  • LNGC(액화천연가스운반선) 1척,
  • 셔틀탱커 9척,
  • VLEC(초대형 에탄운반선) 2척,
  • 수에즈막스급 유조선 4척
    등을 수주하면서, 연간 수주 목표 58억 달러 중 약 39%를 조기 달성했습니다.

특히 최근 **모잠비크 Coral Norte FLNG 프로젝트(약 72억 달러)**가 정부 승인을 받으며, 2분기 내 Coral Sul #2 FLNG 수주(25억 달러 규모)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태입니다. 이외에도:

  • 북미 LNGC 본격 발주
  • 남미 셔틀탱커 지속 수요
  • 미국 Delfin FLNG 1기(15억 달러)

등 다양한 모멘텀이 대기 중입니다.


🧠 기술경쟁력: FLNG 독점 시대 연다

삼성중공업은

  • Shell의 Prelude FLNG
  • Petronas FLNG
  • Coral Sul FLNG
  • ZLNG (진행 중)

세계에서 가장 많은 FLNG 건조 경험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뿐만 아니라, 전체 공정 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탑사이드 설계·제작 역량의 50% 이상을 자체 보유하고 있어, 향후에는 EPC(설계·조달·시공) 없이 단독 수주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조선사 중 유일무이한 수준으로, 향후 수익성 극대화 구조를 완성할 수 있는 경쟁력이 됩니다.


📈 목표주가 상향과 투자포인트 요약

📌 투자 포인트 ✅ 요약 내용
실적 성장세 고선가 선박·FLNG 비중 확대, 영업이익 YoY +84.5%
수주 모멘텀 Coral Sul FLNG, Delfin FLNG 등 대기
글로벌 경쟁력 중국 Wison 제재로 삼성 독주 체제
주가 매력도 목표주가 19,000원으로 상향 (P/B 2.7x 기준)

📍 마무리: 삼성중공업은 지금이 기회일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단순한 조선사가 아닙니다.
**세계에서 가장 앞선 해양플랜트 기술을 가진 '해양 인프라 리더'**로 진화 중입니다.

앞으로 글로벌 LNG 인프라 투자의 중심에서 독보적 역할을 수행할 삼성중공업.
지금의 주가가 저평가 구간이라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