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이야기/공모주분석

[7월 공모주] 아우토크립트 :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차량 사이버보안 선도 기업!

Stock Lover 2025. 6. 5. 11:37

 

최근 자동차 산업의 키워드는 단연 자율주행전기차, 그리고 이 둘을 안전하게 뒷받침하는 사이버보안입니다.

 

오늘 소개할 공모주는 이 핵심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은 기업, **아우토크립트(Autocrypt)**입니다.

✅ 기업 개요

  • 기업명: 아우토크립트㈜
  • 설립: 2019년
  • 사업분야: 차량 및 모빌리티 사이버보안 솔루션 개발 및 공급
  • 주요 고객: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 부품사, 정부기관 등

아우토크립트는 차량 내/외부 네트워크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해 공급하는 모빌리티 보안 전문기업입니다.

 

자율주행차와 전기차 시대에 필수적인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술력과 확장성 모두를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사업 특징 및 강점

1. V2X + IVS 통합 보안 기술력

  • V2X(Vehicle to Everything): 차량이 외부 인프라(V2I), 다른 차량(V2V), 전력망(V2G) 등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을 보호
  • IVS(In-Vehicle System): 차량 내부 ECU 간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아우토크립트는 외부 연결성과 내부 시스템 모두를 아우르는 통합 보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자율주행차의 통신 보안을 위한 기술은 국내외 인증 및 실증을 통해 검증된 상태입니다.

2. 글로벌 자동차 사이버보안 의무화 수혜

  • 유럽, 미국, 한국 등은 차량 보안 법제를 마련하고 있음
  • 2024년부터 신차 사이버보안 규제 본격 적용

이러한 법제화 흐름은 아우토크립트의 솔루션 수요를 강제로 끌어올리는 구조입니다.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법적 필수 요소라는 점이 매출 안정성의 핵심입니다.

3. 전기차·자율주행차 시장 성장의 직격 수혜

  • 현대차, 기아, 벤츠 등 주요 OEM과 협력
  • 모빌리티 보안뿐 아니라, 스마트시티 및 교통 인프라 보안으로 확장 중

💸 공모 정보 요약

구분 내용
공모희망가 18,700 ~ 22,000 원
공모주식수 1,400,000 주
상장시장 코스닥
수요예측일 2025.06.24~ 2025.06.30
청약일정 2025.07.03~ 2025.07.04
대표주관사  대신증권
상장일 미정 
 

💡 핵심 기술 요약

1. V2X 통신 보안 원천 기술 보유

  • V2X(Vehicle to Everything)는 차량이 도로, 다른 차량, 신호등, 전력망과 통신하는 기술
  • 아우토크립트는 V2X 통신을 암호화, 인증, 무결성 검증하는 핵심 S/W 보유
  • 자체 보안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국제 규격에 맞춰 인증 완료

→ V2X는 자율주행차의 눈과 귀이기 때문에, 통신 해킹을 방지하는 기술은 필수

2. 국제 표준 규격 준수 기술

  • UNECE WP.29 (자동차 사이버보안 국제 기준) 완벽 대응
  • ISO/SAE 21434 (자동차 보안 엔지니어링 표준) 적용 가능

표준화된 기술을 갖고 있어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의 협업에 유리

3. IVS(차량 내부 시스템) 보안 솔루션

  • 자동차 내부 전자제어장치(ECU) 간 통신을 보호
  • 통신 패킷 분석, 비정상 신호 탐지, 실시간 침입 차단 기능 등 제공
  • CAN, LIN, Ethernet 등 다양한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 가능

→ ECU 개수가 늘어나는 전기차/자율주행차에서 핵심 보안 모듈로 자리 잡음


🧪 기술 검증 및 사업화 이력

구분 내용
실증 현대차, 기아, 국토부 ITS 인프라 등 국내외 실증사업 수행
특허 및 인증 국내외 특허 50건 이상, CC 인증, TISAX, ISO27001 등
파트너사 Tier1 부품사, 글로벌 OEM, 지자체 등 다수
 

→ 단순 R&D 단계가 아닌 실제 양산 및 납품이 가능한 기술이라는 점이 핵심!


🔍 기술 경쟁사 대비 우위

항목 아우토크립트 경쟁사 A 경쟁사 B
V2X 보안 원천기술 보유, 실증 다수 미보유 일부 기능만 지원
IVS 보안 커널단 침입 탐지 가능 외산 솔루션 OEM 기능 제한
글로벌 표준 대응 WP.29, ISO 21434 대응 완료 미흡 미완료
양산 가능성 완성차 납품 경력 보유 없음 없음
 

📈 결론: 기술이 실적으로 연결되는 구조

  • 아우토크립트는 단순한 '보안 스타트업'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입 문턱을 이미 넘은 기술 기업입니다.
  • 보안은 규제가 강한 분야이기 때문에 표준을 선점한 기업이 시장을 주도합니다.
  • 이미 차량 출고에 필요한 보안 요건이 법제화되고 있어, 아우토크립트의 기술은 곧 필수 탑재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 투자 포인트 요약

법제화된 수요: 글로벌 규제에 따른 강제적 시장 수요
기술 신뢰도: 글로벌 OEM 대상 실증 및 납품 이력
고성장 산업: 자율주행·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보안 수요도 급증
모빌리티 외연 확장성: 스마트시티, 전력통신망 등으로 사업 확장 중

 

📊 아우토크립트 실적 및 수익구조 분석: 적자에도 IPO 나선 이유는?


🧾 1. 매출 추이 요약 (단위: 천원)

연도 총매출액 솔루션 매출 용역 매출 로열티 매출
2021 7,771,673 4,893,455 (62.97%) 2,878,218 (37.03%) -
2022 11,918,098 4,832,483 (40.55%) 7,073,108 (59.35%) 12,507 (0.10%)
2023 21,314,821 6,347,196 (29.78%) 14,500,710 (68.03%) 466,914 (2.19%)
2024 23,049,895 9,423,835 (40.88%) 13,049,837 (56.62%) 576,224 (2.50%)

🔍 2. 실적 포인트 해석

🔸 매출은 빠르게 증가 중

  • 3년간 2배 이상 성장
  • 주요 고객: 완성차 업체, 1차 부품사, 정부기관
  • 특히 V2X 보안 솔루션은 수주 실적과 구축 레퍼런스가 늘어나는 중

🔸 영업이익 적자는 왜?

  • R&D 비용 비중이 매우 높음 (연 매출 대비 약 40~50%)
  • 자율주행차, 전기차는 장기 사이클 산업이기 때문에 먼저 시장 선점이 중요
  • 당장 수익보다는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인증 획득에 집중

💼 3. 수익구조의 특징

✔ ① 제품 판매 + 구축 서비스

  • 보안 소프트웨어를 제품 라이선스 방식으로 공급
  • 초기 구축과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도 함께 제공 → 매출 규모 ↑

✔ ② 연간 유지보수 수익 (Subscription)

  • 구축 후에는 정기적 라이선스 갱신 및 유지관리 수익 확보
  • 예: V2X 인증서 관리 솔루션의 연간 갱신 계약
    안정적 수익 구조 전환 중

✔ ③ 글로벌 시장 확장

  • 국내는 이미 주요 인프라에 공급 시작
  • 향후 유럽, 북미, 아시아 지역 완성차 OEM 진출 본격화 예정

🚀 4. 공모자금 사용계획 = 실적 전환 예고

항목 사용계획
R&D 투자 보안 알고리즘 고도화, AI 기반 이상징후 탐지
해외 사업확장 유럽/미국 인증 획득 및 법인 설립
인프라 구축 글로벌 고객 대응 SaaS 플랫폼 고도화
→ 향후 2~3년 내 흑자 전환 가능성 기대

🔒 5. 보호예수 요약

구분 총보유 주식수 상장 전 (보호예수 해당) 상장 후 (유통 가능) 매각제한 기간
최대주주 소계 2,700,072 (33.22%) 2,700,072 (28.21%) - 상장일로부터 3년
벤처금융 소계 4,149,966 (51.06%) 2,860,528 (29.89%) 1,289,438 (13.47%) 상장일로부터 1~3개월
전문투자자 소계 465,852 (5.73%) 325,188 (3.40%) 140,664 (1.47%) 상장일로부터 1~3개월
일반 소계 811,782 (9.99%) 206,438 (2.16%) 605,356 (6.33%) 상장일로부터 1~3개월.1년
공모주주 - - 1,400,000 (14.63%) 보호예수 해제 대상 아님
의무인수(대신증권) - 42,000 (0.44%) - 상장일로부터 3개월 
합계 8,127,672 (100%) 6,134,226 (64.10%) 3,435,446 (35.90%) 보호예수: 약 64.10%

📌 결론: 지금은 '적자', 하지만 '방향성'은 확실

  • 실적만 보면 아쉬울 수 있으나,
    ▶ 글로벌 인증 획득
    ▶ 규제산업 기반의 수요 확정 시장
    ▶ 고객사 확장성과 SaaS형 수익모델 전환 중
  • 결국, 아우토크립트는 지금의 적자가 시장 선점을 위한 필연적 투자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